조선 왕실이 500년간 숨겨온 '장의 비밀'... 단 하루 특별 공개된다

 국가유산청은 오늘(27일) 다음 달 4일 경복궁 장고와 생과방에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행사'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2023년 12월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공식 등재된 것을 기념하고, 수천 년 동안 이어져 온 우리 고유의 장 담그기 문화의 가치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특별히 마련됐다.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평소에는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어 있던 경복궁 장고의 특별 개방이다. 장고는 조선시대 왕실에서 장을 보관하던 전통 공간으로, 이번 개방을 통해 관람객들은 궁중에서 사용하던 다양한 형태의 장독과 전통 장 식재료, 장 담그기에 사용되었던 고유의 도구들을 한자리에서 관람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갖게 된다. 전시에는 조선시대 궁중 장 담그기 문화를 재현한 시각 자료와 함께 장의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설명하는 해설도 제공될 예정이다.

 

또한 경복궁 내 생과방에서는 한국의 전통 장류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국가 지정 식품 명인들이 직접 제조한 전통 방식의 간장, 된장, 고추장 등 다양한 장류를 시식해볼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쌈장이나 초고추장 등 응용 장류를 직접 만들어보는 체험 활동도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명인들로부터 장 담그기의 비법과 장을 활용한 전통 요리법에 대한 설명도 들을 수 있어, 한국 전통 식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는 단순한 식품 제조 방법을 넘어 자연과의 조화, 나눔과 공동체 정신이 담긴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국민들이 우리 장 문화의 우수성과 가치를 재발견하고,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한국의 전통 식문화에 자부심을 느끼길 바란다"고 전했다.

 

경복궁 장고에서의 전시는 경복궁 관람객 누구나 별도의 예약 없이 관람할 수 있으며, 생과방에서 진행되는 장 만들기 체험은 인원 제한으로 인해 네이버 예약 페이지를 통해 선착순으로 신청을 받는다. 체험 프로그램은 회당 20명 내외로 제한되며, 참가비는 무료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를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